연봉 4천만 원은 이제 평균 이상의 소득이지만, 세금 부담 또한 그만큼 커지는 구간입니다.
이제는 ‘세금 떼고 나면 남는 게 없다’는 말이 낯설지 않게 느껴집니다.
하지만 절세는 불법이 아닌, 합법적인 ‘세금 전략’입니다.
이 글에서는 연봉 4천 시대의 직장인을 위해 가장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절세 방법을 정리해 드립니다.
1. 세금 구조 이해부터 시작하자
연봉 4,000만 원 기준 세전 vs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국민연금: 4.5%
- 건강보험 + 장기요양보험: 약 3.5%
- 고용보험: 0.9%
- 소득세 및 주민세: 약 5~6%
➡️ 총 세금 부담: 약 14~15% (연 600만 원 내외)
2. 연말정산을 위한 사전 준비: 기본 공제 최적화
✅ 인적공제
- 본인: 기본 150만 원
- 배우자, 부모, 자녀가 소득 기준 충족 시 각 150만 원 추가 공제
- 만 60세 이상 부모님 또는 자녀 20세 이하 포함 가능
✅ 보험료, 의료비, 교육비 공제
- 의료비: 총급여의 3% 초과분 공제 가능
- 교육비: 본인/자녀/배우자/부모 교육비 공제
- 보험료: 본인 명의의 보장성 보험 납입 시 연 100만 원 한도 공제
3. 누구나 할 수 있는 세액공제: 연금저축 & IRP
✅ 연금저축
- 연 400만 원까지 납입 → 최대 66만 원 세액공제
- ETF, 펀드 등으로 운용 가능
✅ IRP
- 연 700만 원까지 납입 가능 (연금저축 포함)
- 최대 115.5만 원 세액공제 가능
4. 소득공제의 핵심: 신용카드 vs 체크카드 사용 전략
총급여의 25%를 초과한 금액만 공제 대상입니다.
- 신용카드: 15% 공제
- 체크카드/현금영수증: 30% 공제
Tip: 카드 사용액이 총급여의 25%에 도달하면, 이후부턴 체크카드로 집중 사용!
5. 주택청약, 전세자금대출 등 기타 공제 항목
✅ 주택청약
- 무주택 세대주일 경우 청약저축 납입금액의 40% 세액공제 (연 240만 원 한도)
✅ 전세자금대출
- 총급여 5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
- 이자금 일부 소득공제 (최대 연 300만 원)
6. 실전 절세 루틴 정리
구분 | 방법 | 절세 효과 |
---|---|---|
연금저축 | 연 400만 원 납입 | 세액공제 최대 66만 원 |
IRP | 연 300만 원 추가 납입 | 세액공제 최대 49.5만 원 |
카드 사용 | 체크카드 집중 | 소득공제 최대화 |
주택청약 | 월 20만 원 납입 | 세액공제 최대 96만 원 |
기타 공제 | 보험, 교육비, 의료비 | 추가 환급 가능 |
결론: 연봉 4천의 세금을 돌려받는 습관이 필요하다
절세는 ‘불법’이 아닌 ‘전략’입니다.
IRP와 연금저축만 잘 활용해도 매년 100만 원의 차이를 만들 수 있고,
소비 습관과 공제 항목 활용으로 5년 내 수백만 원의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지금 바로 실천 가능한 항목부터 점검해보세요.